EV/EBITDA – PER보다 정확한 기업가치 측정법
서론
투자자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지표가 있습니다. “이 회사 PER이 낮으니까 괜찮아 보인다” 또는 “PER만 보고 들어갔다가 커다란 손실을 봤다”는 이야기도 많죠. 하지만 단순히 주가 대비 순이익을 보는 PER만으로는 기업의 진짜 가치를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등장하는 것이 EV/EBITDA(Enterprise Value ÷ 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 Amortization)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EV/EBITDA가 왜 PER보다 더 나은 기업가치 측정 지표로 여겨지는지, 어떻게 계산되고 활용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본론
1. EV/EBITDA란 무엇인가?
EV/EBITDA는 기업의 전체 가치(Enterprise Value: EV)를 EBITDA로 나눈 비율입니다. EV는 기업의 시장가치(시가총액) + 부채 – 현금및현금성자산 등을 고려한 지표입니다. 반면 EBITDA(이자, 세금, 감가상각비 차감 전 이익)는 기업 영업활동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자본구조나 감가상각 정책 등의 영향을 덜 받습니다. 따라서 EV/EBITDA는 기업이 보유한 자본구조, 차입금, 현금 등을 고려한 보다 ‘전체적인’ 가치 판단 지표로 평가됩니다.
2. PER 대비 EV/EBITDA의 장단점
장점
- EV는 부채와 현금까지 반영하므로, 자본구조가 다른 기업들 간 비교 시 왜곡이 적습니다.
- EBITDA는 감가상각, 이자, 세금 등의 회계·정책 요인에 덜 민감하기 때문에 기업 간 비교 시 유리합니다.
- 순이익이 적거나 마이너스인 기업이라도 EBITDA가 양수라면 평가가 가능해, 성장기업이나 자산구조가 복잡한 기업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단점 및 유의사항
- EBITDA가 감가상각비나 자본적 지출(CAPEX)을 반영하지 않으므로, 실제 현금흐름과 괴리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업종에 따라 적정 EV/EBITDA 배수 수준이 매우 다르므로 단일 수치만으로 저평가/고평가를 단정하기 어렵습니다.
- 회계처리 방식, 일회성 비용·수익 등이 EBITDA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기자재 투자나 감가상각 방식 등도 고려해야 합니다.
3. 어떻게 계산하고 활용할까?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EV = 시가총액 + 순부채(총부채 – 현금및현금성자산)EV/EBITDA = EV ÷ EBITDA
활용 팁
- 같은 업종 내 유사 기업들과 EV/EBITDA를 비교하여 상대적 가치 판단하기.
- 역사적 배수(5년 → 10년 평균 등)와 비교하여 현재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확인.
- EV/EBITDA가 낮다면 저평가일 가능성, 반대로 매우 높다면 성장 기대가 이미 가격에 반영되었거나 리스크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 하지만 배수만 보고 매수하기보다는 기업의 사업구조, 부채비율, CAPEX 규모, 현금흐름 등을 함께 검토해야 합니다.
결론
기업가치를 평가할 때 단순히 PER만 보는 것은 자칫 자본구조나 회계정책 차이에 의해 왜곡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EV/EBITDA는 기업이 가진 자본·부채·현금 등을 포괄해 보다 종합적인 관점에서 가치를 파악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물론 완벽한 지표는 아니지만, 다른 지표들과 함께 사용할 때 그 의미가 더욱 강화됩니다. 투자자로서 이번 기회에 관심 기업의 EV/EBITDA 배수를 확인해보시고, PER 대비 어떤 위치에 있는지 비교해보시길 권합니다.
관심 있는 기업 하나를 골라 최근 EV와 EBITDA를 계산해보세요. 그 뒤 나와 업종 평균의 EV/EBITDA 배수를 비교하면서 “이 기업은 저평가인가?” 혹은 “고평가인가?”라는 질문을 스스로 던져보시길 권합니다.
관련 글: ROIC – 진짜 경영자의 실력은 여기서 드러난다
카테고리: 투자 전략
예고
FCF(자유현금흐름) – 배당과 성장의 핵심
다음 글에서는 기업이 실제로 벌어들이는 현금의 흐름, 즉 자유현금흐름(Free Cash Flow; FCF)이 왜 투자자에게 중요한지, 배당 및 성장 투자 측면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깊이 있게 다룰 예정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