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PER인 게시물 표시

기업의 내재가치 간단히 계산하는 법 – DCF와 PER 실전 활용법

이미지
"이 기업, 지금 주가가 비싼 걸까? 아니면 싸게 거래되고 있는 걸까?" 저는 투자를 시작하고 가장 먼저 가졌던 질문이 바로 이거였어요.  PER이니 PBR이니 어렵게만 느껴졌지만, 결국은 하나의 목적, ‘이 기업의 진짜 가치는 얼마인가?’ 를 알기 위한 도구였죠. 오늘은 여러분께 가장 실전적이고 간단한 내재가치 계산법 2가지를 소개드릴게요.  바로 DCF (현금흐름 할인법) 과 PER 기반 평가법 입니다. 1. DCF (현금흐름 할인법) – 가장 기본이 되는 가치 평가 DCF는 앞으로 기업이 벌어들일 현금 흐름을 현재 가치로 환산 해 보는 방식입니다. 다소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논리는 간단해요. 미래에 벌 돈을 현재 가치로 계산 예: 1년 후 1,000원이 들어올 예정이라면, 지금 그 돈은 950원 정도의 가치 간단한 계산 예시: • 미래 5년간 예상 현금흐름: 100억 → 매년 5% 성장 • 할인율(현재 가치 환산 기준): 8% • 계산된 총 현재가치: 약 480억 • 발행 주식 수: 1천만 주 👉 주당 내재가치 = 48,000원 현재 주가가 40,000원이라면? 저평가된 상태 일 가능성이 크죠. 2. PER을 활용한 내재가치 계산 – 가장 많이 쓰이는 간단 공식 PER은 가장 많이 쓰이지만 동시에 오해도 많은 지표예요. EPS × 적정 PER = 적정 주가 라는 아주 간단한 공식이 핵심입니다. 예시: EPS(주당순이익): 3,000원 업종 평균 PER: 15배 → 적정 주가는 3,000원 × 15 = 45,000원 현재 주가가 38,000원이라면? 상승 여력이 있는 종목 이죠. 단, PER은 업종별 특성이 반영되므로 비교 기준을 잘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두 가지 방법을 함께 활용하는 팁 DCF는 보수적으로, PER은 현실적으로 보는 것이 좋습니다....

PER로 싼 주식, 비싼 주식 판단하는 법

이미지
“PER이 낮으면 저평가된 주식일까요? 항상 그런 건 아닙니다.” 저도 처음엔 PER만 보고 싸다고 매수했다가 손해 본 경험 이 있어요.  그래서 더 깊이 알아보니, PER은 맥락과 비교가 핵심 이라는 걸 깨달았죠. 이번 글에서는 PER이란 무엇인지 , PER을 어떻게 활용해 주식의 저평가‧고평가 판단할 수 있는지 쉽고 구체적으로 정리해드릴게요. ① PER이란 무엇인가요? PER(Price to Earnings Ratio) 은 주가 ÷ 주당순이익(EPS) 으로 계산되며, 현재 주가 대비 수익성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 입니다. 쉽게 말해, “이 회사의 이익을 벌려면 주가의 몇 배를 지불해야 하는가?”를 보여주는 수치 입니다. ② PER은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업종 평균 PER과 비교 : 같은 업종 내 낮은 PER은 저평가 가능성 과거 PER 흐름 비교 : 최근 몇 년 PER 변동 추이를 보면 현재 밸류에이션 수준 파악 일회성 이익 제외 여부 확인 : 일회성 이익으로 EPS가 왜곡되면 PER도 부정확 PER 단독으로 판단하기보다는, 비교와 보정이 중요합니다. ③ 실전 활용 팁 PER < 업종 평균 → 잠재적 저평가 주식 PER 높지만 성장성이 확실한 경우 → 미래 밸류를 기대 PER이 낮은 이유가 실적 부진이라면 위험 가능성 존재 PER은 판단의 시작이지 결론이 되면 안 됩니다 . 💡 마무리 요약 ✔ PER은 주가 대비 수익 수준을 나타내는 대표 지표 ✔ 업종 평균이나 과거 흐름과 비교해 맥락을 봐야 합니다 ✔ 표면 숫자만 보지 말고 일회성 요소 여부 확인이 필요합니다 마무리하며: PER은 시작, 종합 판단이 핵심입니다 PER 수치 하나만 보면 단순하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