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9주간 재테크 여정, 나는 무엇을 얻었는가? — 습관·도구·규칙의 변화 보고서

9주 전의 저는 ‘언젠가 정리해야지’라는 마음만 컸습니다. 숫자는 흩어져 있었고, 결정을 미뤘죠. 그 사이 시장은 늘 바빴고요. 9주가 지난 지금, 제 계좌에는 습관·도구·규칙이 자리 잡았습니다. 수익은 시장이 주지만, 안정과 일관성은 습관이 주더군요.


1) 무엇이 달라졌나 — 5가지 습관

  • 🗓️ 주간 15분 점검: 수요일 21:00, 드리프트·현금버퍼·주식합산만 확인
  • 🔄 월 1회 리밸런싱: 밴드(±20%) 이탈 자산만, 1회 이동 ≤ 3%p
  • 🧭 분기 90분 리뷰: KPI 6종(수익·변동성·MDD·비용·회전율·TWR)으로 한 가지 레버만 조정
  • 📝 3문장 코멘트: “무슨 일→원인→다음 액션”으로 기록
  • 👨‍👩‍👧 가족 10분 미팅: 신호등(🟢/🟡/🔴) 중심으로 결정 3개 이내


2) 무엇을 만들었나 — 4가지 도구

  • 📊 대시보드(도넛·드리프트·순자산·월수익률): 쏠림과 편차를 그림으로 확인
  • 📈 XIRR/TWR 시트: 내 돈의 실제 수익률과 전략의 성과를 분리 평가
  • 🔔 알림 스크립트: 월 1회 리밸런싱 메일, 조건 위반 경보(주식≤55%, 밴드±20%)
  • 📄 1페이지 리포트: KPI 카드 6개 + 차트 4개 + 3문장 코멘트 → PDF 발송


3) 숫자로 본 변화(예시 포맷)

개인별 결과는 다릅니다. 아래는 템플릿 적용 시 관찰 포인트를 보여주는 예시 포맷입니다.

지표 시작 시(예) 9주 후(예) 변화의 원인
주식 합산 비중 60% 54~55% 노출 캡 준수 & 리밸런싱
현금 버퍼 7% 11~12% 보수 모드 스위치(변동성↑시 현금 +3%p)
월 회전율 120%+ ≤ 80% 밴드±20% 적용으로 불필요 거래 감소

※ 위 수치는 설명을 위한 예시입니다(실제 성과는 투자 환경/상품/세금에 따라 달라집니다).


4) 실패에서 배운 것 — 3가지 교정

  • 충동 대처 → ✅ 쿨다운 24시간과 “화/금 21:00 슬롯” 고정
  • 과도한 섹터 쏠림 → ✅ 섹터 상한 20%, 상관쌍 합산 25%로 컷
  • 비용 무시 → ✅ 기대이익 < 예상비용이면 보류 규칙 추가


5) 9주 로드맵 되돌아보기

주차 핵심 주제 산출물
1자산 현황/분산 점검자산 진단표, 비중 표준화
2순자산 계산 & 구글 시트 구조원장·스냅샷 시트
3수입/지출 분석 루틴예산·카테고리 규칙
4목표 설정(3단계) & 연간 계획2025 계획표
5포트폴리오 전략/리밸런싱밴드·노출 캡 수치
6자동화(알림/계산기)Apps Script 알림
7보고서(1페이지)PDF 발송 템플릿
8위기 대응 플레이북3층 비상금·현금화 계획
9분기 업데이트A/B 테스트 프로토콜


6) 앞으로 유지할 7가지 체크리스트

  • ① 주식합산 ≤ 55%, 섹터 ≤ 20%, 상관쌍 ≤ 25%
  • ② 리밸런싱 밴드 기본 ±20%, 필요 시 ±15/25%
  • ③ 현금 버퍼 10~15% 유지
  • ④ 1회 비중 이동 ≤ 3%p
  • ⑤ 월 회전율 ≤ 100%, 비용률 ≤ 0.6%p/년
  • ⑥ 손실 중단선 -3R, 24시간 쿨다운
  • ⑦ 주간 15분·월간 30분·분기 90분 루틴


💬 마무리

9주의 결론은 단순합니다. 좋은 전략보다 지속 가능한 루틴이 먼저입니다. 오늘도 수요일 21:00 알림이 울리면, 차트 네 개와 신호등만 확인하세요. 결정은 짧게, 기록은 간단히, 행동은 일관되게.

※ 교육용 일반 정보이며 특정 상품 권유가 아닙니다. 수수료·세율·상품 규정은 기관 공지를 확인하세요.


다음 글 예고

다음 글에서는 소득 구조·위험 성향·자산 규모를 기준으로 ‘나에게 맞는’ 전략을 고르는 결정 트리를 제공합니다.

  • 💼 소득 안정/변동별: 현금 버퍼·배당/이자 비중 설정
  • 🧠 성향별: 보수형/중립형/성장형 모델 포트
  • 📦 자산 규모별: 비용 한도·주기·종목 수 가이드
  • 🧪 시작 전 체크: 밴드·노출·쿨다운 수치 고정

“남의 성공 공식”이 아니라 내 형편에 맞는 전략을 함께 설계해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