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후 자산 목표, 지금부터 시뮬레이션! — 구글 시트 템플릿·민감도 표·가드레일
“10년 뒤 얼마를 모아야 안심할까?” 숫자로 확인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시뮬레이션입니다. 오늘은 현재 자산·월 저축·기대수익률·물가·수수료를 넣으면 명확한 금액이 나오는 구글 시트 수식과 보수/중립/공격 3시나리오, 민감도 표를 한 번에 세팅합니다. 마지막엔 실패를 줄이는 가드레일(현금 10~15%, 주식≤55%, 드리프트≤20%)도 적용합니다.
1) 입력값 6개만 준비하세요
항목 | 설명 | 예시 |
---|---|---|
현재 순자산 | 투자 가능 금액(부채 차감) | ₩120,000,000 |
월 저축액 | 매월 추가 납입 | ₩1,000,000 |
연 기대수익률 | 세전·총수익률(보수/중립/공격) | 3% / 5% / 7% |
연 총비용률 | 펀드보수·거래비용 등 | 0.4%p |
연 물가상승률 | 실질가치 환산용 | 2.0% |
기간(년) | 목표까지 남은 시간 | 10 |
2) 구글 시트 수식(복붙)
- 시트에 아래 표를 그대로 만들고 B열에 값을 입력하세요.
- 연 수익률과 비용률은 순수익률 = 수익률 − 비용률로 계산합니다.
셀 | 라벨 | 값/수식 |
---|---|---|
A2 | 현재 순자산 | |
A3 | 월 저축액 | |
A4 | 연 기대수익률 | |
A5 | 연 총비용률 | |
A6 | 연 물가상승률 | |
A7 | 기간(년) | |
아래는 수식(해당 셀에 그대로 붙여넣기) | ||
B8 | 연 순수익률 | =B4-B5 |
B9 | 월 순수익률 | =(1+B8)^(1/12)-1 |
B10 | 월 수(전체) | =12*B7 |
B11 | 미래가치(명목) | =FV(B9,B10,-B3,-B2) |
B12 | 실질가치 환산 | =B11/((1+B6)^B7) |
※ FV(rate, nper, pmt, pv)는 입금(pmt)과 현재가치(pv)를 음수로 넣으면 결과가 양수로 표시됩니다.
3) 3가지 시나리오(보수·중립·공격)
시나리오 | 연 수익률 | 연 비용률 | 연 순수익률 | 10년 후 명목 | 10년 후 실질(2025년 가치) |
---|---|---|---|---|---|
보수 | 3.0% | 0.4%p | 2.6% | =FV((1+0.026)^(1/12)-1,120,-1000000,-120000000) | =위결과/((1+0.02)^10) |
중립 | 5.0% | 0.3%p | 4.7% | =FV((1+0.047)^(1/12)-1,120,-1000000,-120000000) | =위결과/((1+0.02)^10) |
공격 | 7.0% | 0.4%p | 6.6% | =FV((1+0.066)^(1/12)-1,120,-1000000,-120000000) | =위결과/((1+0.02)^10) |
※ 예시는 입력값(현재 1.2억, 월 100만, 물가 2%) 기준입니다. 본인 수치로 바꾸어 다시 계산하세요.
4) 민감도 표(월 저축·순수익률 변화)
두 가지 레버만 바꿔도 답이 보입니다. 월 저축과 연 순수익률.
연 순수익률 → 월 저축 ↓ | 2% | 3% | 4% | 5% | 6% |
---|---|---|---|---|---|
₩700,000 | =FV((1+0.02)^(1/12)-1,120,-700000,-B2) | =FV((1+0.03)^(1/12)-1,120,-700000,-B2) | =FV((1+0.04)^(1/12)-1,120,-700000,-B2) | =FV((1+0.05)^(1/12)-1,120,-700000,-B2) | =FV((1+0.06)^(1/12)-1,120,-700000,-B2) |
₩1,000,000 | =FV((1+0.02)^(1/12)-1,120,-1000000,-B2) | =FV((1+0.03)^(1/12)-1,120,-1000000,-B2) | =FV((1+0.04)^(1/12)-1,120,-1000000,-B2) | =FV((1+0.05)^(1/12)-1,120,-1000000,-B2) | =FV((1+0.06)^(1/12)-1,120,-1000000,-B2) |
₩1,300,000 | =FV((1+0.02)^(1/12)-1,120,-1300000,-B2) | =FV((1+0.03)^(1/12)-1,120,-1300000,-B2) | =FV((1+0.04)^(1/12)-1,120,-1300000,-B2) | =FV((1+0.05)^(1/12)-1,120,-1300000,-B2) | =FV((1+0.06)^(1/12)-1,120,-1300000,-B2) |
팁: 위 표 오른쪽에 /((1+$B$6)^$B$7)를 곱해 실질가치 열을 추가하세요.
5) 실패 확률을 줄이는 가드레일
- 현금 10~15% 유지: 소득 충격·긴급 지출 버팀목
- 주식 합산 ≤ 55%: 급락 시 변동성 완충, 과노출 방지
- 드리프트 |편차| ≤ 20%: 이탈 자산만 1~3%p 조정(장 마감 후)
- 비용 상한: 총비용률 ≤ 0.6%p/년, 회전율 ≤ 100%/월
6) 15분 완성 체크리스트(오늘 실행)
- 현재 순자산·월 저축액 입력 → 연 수익률/비용/물가 가정 고정
- B11 명목·B12 실질 결과 확인 → 목표금액과 비교
- 부족하면: 월 저축 +10% 또는 순수익률 +1%p 달성 계획 중 1개 선택
- 다음 달부터: 결과를 월 1회만 업데이트(장중 확인 금지)
7) 자주 묻는 질문
- Q. 세후·세전 어느 쪽 기준인가요?
A. 수수료는 반영했고, 세금은 상품·계좌별로 달라 별도 가정이 필요합니다. 보수적으로 연 순수익률을 -0.3~0.5%p 낮춰 가정해 보세요. - Q. 물가가 더 오르면요?
A. B6을 3~4%로 바꿔 민감도 재계산하세요. 목표금액도 물가 연동으로 상향이 필요합니다.
8) 인쇄용 한 장(요약)
[10년 시뮬레이션 체크] □ 현재자산 ____원 □ 월저축 ____원 □ 순수익률 ____% □ 물가 ____% → 10년 후 명목: ______원 / 실질: ______원 [가드레일] 현금 10~15% · 주식≤55% · 드리프트≤20% · 비용≤0.6%p [다음 행동] 월저축 +10% / 비용 -0.2%p / 포트 노출 -2%p 중 1개
마무리 — 계획은 숫자로 확인될 때 힘을 가집니다. 오늘 시트를 만들어 두면, 내일의 흔들림이 줄어듭니다. 보수·중립·공격 3가지 숫자를 나란히 두고, 지속 가능한 조합을 고르세요.
※ 본 글은 교육용 일반 정보입니다. 상품·세율·요금·계좌 조건은 각 기관 공지를 확인하세요.
🔜 다음 글 예고 | 나의 투자/소비, 점검하고 수정하기
- 월 30분 리뷰: 투자 KPI 6종(CAGR·TWR·변동성·MDD·비용·회전율)
- 소비 리포트: 고정/변동/감정 구분과 컷 전략
- 행동 수정: IF–THEN 규칙과 쿨다운
- 다음 달 실행 카드 3개 이내로 고정
체크리스트와 구글 시트 요약 대시보드 템플릿을 함께 제공합니다.